책읽는도시의정부

사서컬렉션

  • 현재페이지 인쇄
줬으면 그만이지 : 아름다운 부자 김장하 취재기
  • [도서] 줬으면 그만이지 : 아름다운 부자 김장하 취재기
  • 저자사항       김주완 지음
  • 발행사항       피플파워 2023 인쇄자료(책자형), \ 20000
  • 형태사항       359 p. 23 cm
  • 표준부호       ISBN : 9791186351543
  • 십진분류       338, 사회복지

소장정보

도서 상태 및 등록 정보
소장
도서관
자료실 청구
기호
등록
번호
부록
유무
대출가능
여부
반납
예정일
과학 과학_일반자료실 338.17099-ㄱ933ㅈ UE0000170933 N 대출불가 2025.07.20

책소개

“이만큼 베푼 사람은 많지만이만큼 드러내지 않은 이는 없다”20대 중반부터 50년 넘게 이어온 기대 없이 베풀고 대가 바라지 않는 삶선한 영향력 절로 넓혀가는 김장하 바이러스 도대체 무엇이 이런 삶을 가능하게 했을까취재 과정에서 가장 많이 받은 질문은 “어떻게 김장하 선생의 허락을 받았느냐”는 말이었다. 하지만 선생은 허락한 적이 없다. 선생은 그동안 형평운동기념사업회를 비롯한 여러 공적인 단체에 몸을 담고 공적인 활동을 해왔다. 따라서 선생은 공인(公人)에 준(準)하는 인물을 취재하겠다는데, 그것까지 못하게 막을 권리는 없다고 생각한 것 같다.인터뷰도 한 적이 없다. 찾아오는 사람을 냉정하게 내치지 못하는 선생의 약점(?)을 공략했을 뿐이다. 그리고 많은 분이 자연스럽게 선생과 함께할 수 있는 자리를 만들어주셨다. 그분들께도 깊이 감사드린다.2021년 11월 엠비씨경남 김현지 피디로부터 함께 취재하자는 제안을 받았고, 덕분에 내가 아예 접근하지 못했거나 놓쳤을 것들을 얻어 건진 것도 많았다. 특히 김현지 피디와 강호진 촬영감독, 차선영 작가의 기획력과 섭외력, 취재현장의 순발력에 덕본 게 많다.‘100명의 김장하, 1000명의 김장하’를 취재 과정에서 많이 만날 수 있었던 것도 기쁨이었다. 하남칠 교장은 ‘장학금 돌려주기’ 차원에서 모교 학생들에게 오랜 세월 매년 장학금을 주고 있었고, 본문에 등장하진 않지만 명신고 출신 건축가 박범주(1970~) 씨도 문화예술계에 든든한 후원자로 김장하를 닮아가고 있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이 책에 등장한 사람들은 말할 것도 없고 등장하지 않은 사람들 중에도 이미 ‘김장하 바이러스’에 감염된 사람이 많았다. 이런 선순환이 돌고 돌아 김장하 선생이 꿈꾸는 모두가 잘 사는 세상이 반드시 오리라 믿는다.취재 과정에서 김현지 피디는 만나는 사람마다 “김장하 선생을 한 마디로 표현하자면?”이라는 질문을 던졌다. ‘생불’ ‘보살’ ‘의인’ ‘진정한 어른’ ‘이 시대의 예수’ ‘든든한 뒷배’ ‘시민운동의 비빌 언덕’ ‘호의(好義)와 경의(敬義)의 표본’ ‘남명 조식 선생 같은 분’ ‘모든 것을 품어주는 호수’ 등 다양한 표현이 나왔다.그런데 내가 가장 공감했던 표현은 ‘이 시대의 강상호 선생’이었다. 극단현장 고능석 대표가 한 말이었다. 대중적으로 강상호라는 이름을 아는 사람이 많지 않아 방송용으로는 별로였겠지만, 호의호식할 수 있는 부자임에도 자신의 재산을 털어 세상의 가장 천대받는 사람들 편에서 평등과 정의를 실현하기 위해 앞장섰다는 점에서 가장 닮은 두 사람이었다.----작가의 ‘닫는 말’ 중에서

목차

목차정보가 없습니다.

이 책의 주요키워드

연령별 대출정보

연령별 대출정보
연령 대출
10대 미만 0
10대 0
20대 1
30대 2
40대 5
50대 6
60대 1
70대 1
80대 0
90대 0

연도별 대출선호도 정보

연도별 대출선호도 정보
성별 대출
2016년 0
2017년 0
2018년 0
2019년 0
2020년 0
2021년 0
2022년 0
2023년 7
2024년 2
2025년 7
데이터 없음 0

함께 비치된 도서

  • 복지국가
  • 복지국가와 복지정책
  • 래디컬 헬프 : 돌봄과 복지제도의 근본적 전환
  • 사회복지정책
  • (비영리단체) 모금전략 : for wise giving, smart fundraising
  • 기부 불신 : 기부금을 둘러싼 불편한 진실
  • 우리는 기부자 모금합니다 : 행복한 기부 경험이 만드는 요즘 모금 트렌드
  • 줬으면 그만이지 : 아름다운 부자 김장하 취재기
  • 가정생활복지론. 2
  • 건강가정론 = Healthy family theory
  • 사회복지실천과 클라이언트 폭력
  • 가족복지의 정책과 실천= Family welfare policy and practice
  • (사회복지사들의) 좋은 가족 만들기
  • 기본소득의 쟁점과 대안사회
  • 모두의 몫을 모두에게 : 지금 바로 기본소득

함께 대출한 자료

  • 긴긴밤
  • 소원 취소해 주세요
  • 살 때 팔 때 벌 때: 여의도 닥터둠 강영현이 공개하는 진격의 주식 투자 타이밍
  • 고래별: 경성의 인어공주. 3
  • 고래별. 2: 경성의 인어공주
  • 고래별. 1: 경성의 인어공주
  • 모차르트 : 천재 작곡가의 뮤직 로드, 잘츠부르크에서 빈까지
  • 고래별: 4: 경성의 인어공주
  • 봄밤의 모든 것 : 백수린 소설집
  • 행복한 노인은 늙지 않는다: 당신이 몰랐던 노화에 관한 오해와 진실
  • 오레스테이아 3부작
  • 컨테이저스, 전략적 입소문
  • 만성신부전증은 자연치유 된다
  • 그리스 비극= Greek tragedy: 이이스킬로스 편
  • 하이라이프 : 김사과 소설집

같은 주제의 자료

  • 실격당한 자들을 위한 변론
  • 복지 논쟁
  • 우리는 꿈꿀 거예요!
  • 나라는 부유한데 왜 국민은 불행할까?
  • 모두의 몫을 모두에게 : 지금 바로 기본소득
  • 장애, 너는 누구니?
  • 0.1그램의 희망: 삶의 매순간은 신성하다
  • 아이는 국가가 키워라 : 보육원 의무 교육화
  • 기본소득이 세상을 바꾼다 : 기본이 안 된 사회에 기본을 만드는 소득
  • 노년 예술 수업 : 뭐라도 배우고 뭐라도 나누고 뭐라도 즐기자
  • 그건 내 건데: 기본소득, 모두가 조건 없이 찾아야 할 권리
  • 행복한 나라의 불행한 사람들 : 복지국가 스웨덴은 왜 실패하고 있는가
  • 희망 대신 욕망 : 욕망은 왜 평등해야 하는가
  • 아이들의 계급투쟁
  • 장애인과 함께 사는 법: 다양한 몸 사이의 경계를 허물기 위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