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읽는도시의정부

사서컬렉션

  • 현재페이지 인쇄
백치라 불린 사람들 : 지능과 관념·법·문화·인종 담론이 미친 지적 장애의 역사
  • [도서] 백치라 불린 사람들 : 지능과 관념·법·문화·인종 담론이 미친 지적 장애의 역사
  • 저자사항       사이먼 재럿 지음 ; 최이현 옮김
  • 발행사항       생각이음 2022 인쇄자료(책자형), \ 22000
  • 형태사항       415 p. 23 cm
  • 표준부호       ISBN : 9791196552558
  • 십진분류       338, 사회복지

소장정보

도서 상태 및 등록 정보
소장
도서관
자료실 청구
기호
등록
번호
부록
유무
대출가능
여부
반납
예정일
과학 과학_일반자료실 338.309-ㅈ224ㅂ UE0000171268 N 대출가능

책소개

18세기 영국의 지적장애인들은 지역사회에서 다른 사람들과 평범한 일상을 보내다 19세기에 들어와 엄청난 소용돌이에 휘말린다. 이른바 ‘대감호 시대’에 이들은 외딴 시설에 강제로 수용된다. 저자는 1980년대 한 시설에서 지적장애인을 처음 만난 뒤 많은 의구심을 갖게 된다. 이들에게 어떤 일이 일어났는가? 왜 그런 일이 일어났는가? 그리고 이런 질문들을 바탕으로 이들에 대한 과거 이야기를 찾아 나섰다. 먼저 일상 속의 재판 기록과 속어, 유머, 소설, 시, 풍자만화, 회화, 기행문학 같은 대중적인 창작물에서 이들의 이야기를 찾아낸다. 그리고 당시 서구사회에 널리 퍼져 있던 제국주의와 계몽주의, 우생학, 진화심리학, 도덕성 운동, 공리주의 같은 사상 및 인종주의가 지능과 지적 장애에 대해 어떤 잘못된 관념 및 사고방식을 심어줬는지 깊숙이 파고든다. 여기에는 장애인에 대한 나치의 집단 학살 사건 뒤에 숨겨진 놀라운 이야기도 들어 있다.과거 한국사회에서는 ‘백치’가 지적장애인을 가리키는 용어였다. 지적장애인을 가리키는 용어는 시대와 사회(국가)에 따라 바뀌고 심지어 조롱 섞인 욕설로까지 변질되어 남아 있다. 그럼에도 ‘비역사주의’를 피하고 중요한 역사적 진실을 포착하고자 당시 용어를 그대로 사용한 저자의 의도에 따라 과거 서구사회에서 지적장애인을 지칭했던 ‘idiots’를 ‘백치’로 번역하여 반영했다. 무엇보다도 이 책은 모든 구성원이 함께 살아가려면 사회가 어떻게 변화해야 하는지 교훈을 준다.

목차

목차정보가 없습니다.

이 책의 주요키워드

연령별 대출정보

연령별 대출정보
연령 대출
10대 미만 0
10대 0
20대 0
30대 1
40대 0
50대 0
60대 0
70대 0
80대 0
90대 0

연도별 대출선호도 정보

연도별 대출선호도 정보
성별 대출
2015년 0
2016년 0
2017년 0
2018년 0
2019년 0
2020년 0
2021년 0
2022년 0
2023년 1
2024년 0
데이터 없음 0

함께 비치된 도서

  • 실격당한 자들을 위한 변론
  • 실격당한 자들을 위한 변론
  • 나를 대단하다고 하지 마라
  • 나, 함께 산다 : 시설 밖으로 나온 장애인들의 이야기
  • 나를 보라, 있는 그대로: 화상경험자는 무엇으로 사는가
  • 어른이 되면 : 발달장애인 동생과 함께 보낸 시설 밖 400일의 일상
  • 다시 말해 줄래요? : 청각을 잃자 비로소 들리기 시작한 차별의 소리들
  • 백치라 불린 사람들 : 지능과 관념·법·문화·인종 담론이 미친 지적 장애의 역사
  • 근대 장애인사 : 장애인 소외와 배제의 기원을 찾아서
  • 한국의 빈곤 : 다차원적 접근과 재생산 메커니즘
  • 노숙인과 사회복지 실천: 노숙인 복지시설 내의 사회복지실천 양상과 체계화
  • 죄송합니다,죄송합니다 : 송파 세 모녀의 죽음이 상처를 남긴 이유
  • 미혼모의 탄생 : 추방된 어머니들의 역사
  • (한국의)영유아보육정책
  • 오늘의 청소년, 그들은 누구인가?= Korean youth who they are : 청소년복지론

함께 대출한 자료

  • 최재천의 공부: 어떻게 배우며 살 것인가
  • 지구의 짧은 역사 : 한 권으로 읽는 하버드 자연사 강의
  • 바게트 소년병: 오한기 소설
  • 코지마
  • 신비한 동물들과 그린델왈드의 범죄 : 신비한 마법의 기록 : 영화 속 숨은 이야기들

같은 주제의 자료

  • 실격당한 자들을 위한 변론
  • 복지 논쟁
  • 모두의 몫을 모두에게 : 지금 바로 기본소득
  • 노년 예술 수업 : 뭐라도 배우고, 뭐라도 나누고, 뭐라도 즐기자
  • 우리는 꿈꿀 거예요!
  • 아이는 국가가 키워라 : 보육원 의무 교육화
  • 기본소득이 세상을 바꾼다 : 기본이 안 된 사회에 기본을 만드는 소득
  • 지구촌 곳곳에 너의 손길이 필요해
  • 행복한 나라의 불행한 사람들 : 복지국가 스웨덴은 왜 실패하고 있는가
  • 장애인과 함께 사는 법: 다양한 몸 사이의 경계를 허물기 위하여
  • 넬리 블라이의 세상을 바꾼 10일
  • 나라는 부유한데 왜 국민은 불행할까?
  • 0.1그램의 희망
  • 우리나라 곳곳에 너의 손길이 필요해
  • 오십부터 시작하는 나이 공부 : 세 번에 한 번은 죽음을 이야기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