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읽는도시의정부

사서컬렉션

  • 현재페이지 인쇄
이슬람 전사의 저항과 투쟁
  • [도서] 이슬람 전사의 저항과 투쟁
  • 저자사항       램지 바루드 지음;, 최유나 옮김
  • 발행사항       산수야, 2016 인쇄자료(책자형), \ 15000
  • 형태사항       399 p.: 22 cm
  • 표준부호       ISBN : 9788980973866
  • 십진분류       918, 서남아시아, 중동

소장정보

도서 상태 및 등록 정보
소장
도서관
자료실 청구
기호
등록
번호
부록
유무
대출가능
여부
반납
예정일
미술 미술_3층-멀티그라운드 918.63-ㅂ124ㅇ AL0000013669 N 대출가능

책소개

이슬람과 중동, 분쟁의 소용돌이 속에서 맨몸으로 저항한 민중의 역사. 작가는 자신의 아버지의 이야기를 중심으로 전쟁과 이스라엘의 점령으로 변할 수밖에 없었던 팔레스타인에 대해 감동적이고 통찰력 있는 글로 우리에게 알려주고 있다.

목차

목차정보가 없습니다.

이 책의 주요키워드

연령별 대출정보

연령별 대출정보
연령 대출
10대 미만 0
10대 0
20대 0
30대 0
40대 2
50대 1
60대 0
70대 0
80대 0
90대 0

연도별 대출선호도 정보

연도별 대출선호도 정보
성별 대출
2015년 0
2016년 0
2017년 0
2018년 0
2019년 0
2020년 0
2021년 1
2022년 0
2023년 1
2024년 1
데이터 없음 0

함께 비치된 도서

  • 현대 중앙아시아의 이해
  • 유라시아 견문. Ⅰ, 몽골 로드에서 할랄 스트리트까지
  • 유라시아 견문. 2, 히말라야에서 지중해까지
  • 유라시아 견문. 3, 리스본에서 블라디보스토크까지
  • 중동전쟁: 전쟁이 끝나면 정치가 시작된다
  • (최초의 역사) 수메르 = The history of Sumer
  • 증오의 세계화 : 반유대주의의 역사와 재창궐
  • 이슬람 전사의 저항과 투쟁
  • (중동 테러리즘의 불씨를 지핀) 6일 전쟁 50년의 점령
  • 젊은 독자를 위한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의 역사
  • (7가지 키워드로 읽는) 오늘의 이스라엘: 익숙하지만 낯선 나라, 젊지만 오랜 나라
  • 팔레스타인 100 전쟁: 정착민 식민주의와 저항의 역사, 1917-2017
  • 사우디아라비아 : 중동을 들여다보는 창
  • 문장(紋章)과 함께하는 유럽사 산책
  • 유럽사 이야기: 영미 문학의 거장이 펼쳐낸 인간의 이야기, 옥스퍼드 유럽사

함께 대출한 자료

  • 토지 : 2, 1부 2권
  • 토지 : 3, 1부 3권
  • 미드나잇 선 : 요 네스뵈 장편소설
  • 미래의 아랍인. 2 : 중동에서 보낸 어린 시절 (1984-1985)
  • 미래의 아랍인 : 중동에서 보낸 어린 시절 (1978-1984)
  • 팔레스타인과 이스라엘의 분쟁
  • 젊은 독자를 위한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의 역사
  • 열병
  • 이스라엘 비즈니스 산책 : 세계가 주목한 스타트업의 요람
  • 뼈뼈 사우루스. 4, '뼈하라 사막'의 피라미드 대탐험!
  • 뼈뼈 사우루스. 9, 베베와 '마법 골짜기'의 마법사들
  • 동백아가씨는 어디로 갔을까 : 대중문화로 보는 박정희 시대
  • 후츠파로 일어서라 : 7가지 처방에 담긴 유대인의 창조정신

같은 주제의 자료

  • 이슬람은 그렇게 말하지 않았다
  • 톡톡 이슬람: 문화가 보인다 세상이 보인다
  • 세상을 바꾼 이슬람 : 아시아와 유럽을 연결한 이슬람 문명
  • 젊은 독자를 위한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의 역사
  • 역사를 보는 이슬람의 눈
  • 중동의 역사 : 문명 탄생의 요람
  • 세계사 속 팔레스타인 문제 : Palestine × Israel
  • (핀켈슈타인의)우리는 너무 멀리 갔다 : 은폐된 학살, 이스라엘의 가자 침공
  • 비잔티움 제국 최후의 날
  • (한국인의 시각에서 보는)IS 지하디스트 그리고 이슬람
  • 이슬람제국의 탄생
  • 터키사 100= History of Turkey : 가장 쉽게 읽는 터키사
  • 트로이, 신화의 도시
  • 팔레스타인 현대사 : 무엇이 문제인가
  • 다문화시대의 이슬람, 그 반역의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