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읽는도시의정부

사서컬렉션

  • 현재페이지 인쇄
누구를 위해 특수교육은 존재하는가 : 평등한 분리 교육은 없다
  • [도서] 누구를 위해 특수교육은 존재하는가 : 평등한 분리 교육은 없다
  • 저자사항       윤상원 지음
  • 발행사항       교육공동체 벗 2023 인쇄자료(책자형), \ 15000
  • 형태사항       163 p. 21 cm
  • 표준부호       ISBN : 9788968801761
  • 십진분류       379, 특수교육

소장정보

도서 상태 및 등록 정보
소장
도서관
자료실 청구
기호
등록
번호
부록
유무
대출가능
여부
반납
예정일
과학 과학_일반자료실 379-ㅇ626ㄴ UE0000172939 N 대출가능

책소개

특수교육은 정말 장애(라 명명된) 학생들을 위한 교육인가.분리 교육을 정당화하고 차별과 배제를 조장하는 특수교육을 비판적으로 성찰하다.흔히 특수교육은 장애 학생의 복지와 권리를 위해 존재한다고 여겨진다. 하지만 장애 차별에 저항하는 학문인 장애학은 특수교육이 장애 학생을 주류 사회와 학교 문화로부터 분리 및 배제하는 역할을 수행해 왔다고 주장한다. 이 책은 이러한 분리와 배제가 교육 현장에서 어떻게 일어나는지를 특수 교사로서 필자의 삶과 교육 경험을 통해 밝히며, 진정한 통합 교육이 이루어지기 위해 필요한 변화를 제안한다. ‘시각장애라 명명된’ 특수 교사로서 특수교육을 성찰하다저자는 ‘시작장애라 명명된’ 특수 교사이다. 차별 없는 교육을 실천하기 위해 특수 교사가 되었지만, 교육 현장은 차별과 그 차별을 양산하는 모순으로 가득했다. 저자는 ‘평등한 분리 교육’ 논리가 진보적 교육 의제가 되고 학교 내 분리 교육이 강화되는 현상을 현장에서 경험하면서, 특수교육이 정말 장애라 명명된 학생을 위해 존재하는 것일까 하는 의문을 품게 된다. 그리고 한 시각장애라 명명된 특수 교사로서 저자의 경험과 성찰을 기록하게 된다.이 책의 가장 큰 특징은 ‘시각장애라 명명된 특수 교사’라는 저자의 정체성에서 비롯된다. 대학 때 장애운동을 만나 장애가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사회적 문제임을 인식하게 된 저자는 특수학교 교사로 장애라 명명된 학생들을 만나며 장애학의 관점으로 특수학교와 특수교육의 문제를 바라보게 된다. 그러한 치열한 자기 성찰적 비판의 결실인 이 책은 장애 차별 없는 학교와 사회를 만들기 위해 우리가 어떤 노력을 기울여야 하는지 작은 나침반이 되어 준다. 이 책의 구성이 책은 ‘누구를 위해 특수교육은 존재하는가’라는 질문에 대한 답을 찾고자 8장에 걸친 작은 질문들로 세분화하여 구성하였다. 1장 〈누구를 위해 ‘장애’ 명명은 존재하는가〉에서는 ‘장애’ 명명은, 특정 손상 내지는 차이를 지닌 한 학생을 ‘할 수 없도록’ 만드는 학교 사회 구조를 은폐하고 그 책임을 학생 개인에게 전가하기 위해 그 학생에게 부여된 것은 아닌지에 대한 문제를 제기한다. 왜 특수학교 내 폭력 사건은 줄어들지 않는 것일까. 2장 〈누구를 위해 ‘특수학교’는 존재하는가〉에서는 장애라 명명된 아이들을 향한 특수학교 내 폭력 사건은 특수학교 구성원에 대한 감시와 특수학교 운영 구조의 개선만으로는 해결되지 않기에, 특수학교를 개선하기보다 폐쇄를 검토해야 하는 것은 아닌지 도발적인 질문을 던진다. 3장 〈누구를 위해 ‘특수 교사’는 존재하는가〉에서는 능력주의에 기반한 학교 제도하에서 ‘특수’ 교사에게 주어진 역할은 한 학생을 능력에 따라 차별하고 분리하는, 학교 사회의 규범을 보호하기 위한 문지기 역할은 아닌지 성찰한다. 4장 〈누구를 위해 ‘개별화교육계획’은 존재하는가〉는 장애라 명명된 개별 학생의 차이에 맞는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종합적 지원 계획으로서 개별화교육계획이 자리 잡지 못하고 학생 개별화 수업 계획으로 고립될 수밖에 없는 학교 사회의 조건들에 대해 이야기한다. 장애 인식 개선을 위해 장애 체험 활동 위주로 진행되는 ‘장애이해교육’은 정말 장애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까? 5장 〈누구를 위해 ‘장애이해교육’은 존재하는가〉에서 그 실태를 들여다볼 수 있다. 6장 〈누구를 위해 ‘특수교육법’은 존재하는가〉에서는 특수교육법 제정의 의의 및 한계, 분리 교육 중심의 현행 특수교육법의 문제점을 정리하고 실질적인 통합 교육 지원을 위해 특수교육법이 어떻게 변화해야 하는지에 대한 대안들을 제안한다. 흔히 직업 교육은 고등학교 특수교육의 꽃이라고 한다. 하지만 실상은 어떠할까. 7장 〈누구를 위해 ‘직업 교육’은 존재하는가〉에서는 장애라 명명된 고등학생을 위한 진로와 직업 교육의 열악한 현실과, 그 열악한 현실의 배후에 있는 학교 사회의 구조적 문제점을 들여다본다. 8장 〈누구를 위해 ‘약물’은 존재하는가〉는 발달장애라 명명된 학생들에게 약물을 권하는 학교 사회에 대한 통렬한 비판이다. 본문에 더해, 〈프롤로그〉에서는 장애라 명명된 한 특수 교사로서 삶의 궤적을 따라가며 이 책이 어떤 입장 내지는 관점에서 작성된 것인지를 독자들에게 안내한다. 더불어 〈에필로그〉에서는 ‘특수는 특수하게’라는 논리가 어떻게 장애라 명명된 학생들을 분리하고 배제하는지, 그리소 특수 교사로서 저자는 어떻게 이런 악을 덜 행할 수 있을지 성찰한다. ‘선량한 분리주의자’를 넘어 ‘적극적 통합주의자’로저자는 특수학교 설립 취지나 특수교육의 목적과는 별개로 ‘특수’라는 꼬리표가 일상에서 어떻게 장애라 명명된 학생을 무시하고 배제하는 기제로 작용하는지를 특수 교사로서 경험과 학자로서 연구를 통해 깊이 있게 분석해 낸다. 그리고 하나의 결론, ‘평등한 분리 교육은 없다’는 데 다다른다. 분리를 정당화하고 차별과 혐오를 조장하는 특수학교는 개선이 아니라 폐지를 해야 한다는 저자의 주장은 척박한 한국 사회의 환경에서 다소 비현실적이고 도발적으로 느껴질지 모른다. 하지만, 저자의 당부처럼 ‘선량한 분리주의자’를 넘어 ‘적극적 통합주의자’의 입장에서 실천할 때 통합 교육은 한 걸음 더 다가올 수 있을 것이다.

목차

목차정보가 없습니다.

이 책의 주요키워드

연령별 대출정보

연령별 대출정보
연령 대출
10대 미만 0
10대 1
20대 2
30대 1
40대 1
50대 0
60대 0
70대 0
80대 0
90대 0

연도별 대출선호도 정보

연도별 대출선호도 정보
성별 대출
2015년 0
2016년 0
2017년 0
2018년 0
2019년 0
2020년 0
2021년 0
2022년 0
2023년 2
2024년 3
데이터 없음 0

함께 비치된 도서

  • 특수교육학개론
  • 특수아동상담= Counseli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 특수아상담= Counseli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 특수교육의 쟁점
  • 특수교육학
  • 특수아 상담
  • 특수교육의 이해
  • 누구를 위해 특수교육은 존재하는가 : 평등한 분리 교육은 없다
  • 특수아동의 이해와 교육
  • 자폐스펙트럼장애의 이해
  • (아하!) 통합학급 = Inclusive classroom : 모든 이를 위한 통합교육의 실제
  • 특수아동의 이해 = Understanding exceptional children
  • 특수교육의 이해
  • 특수교육 수업컨설팅= Instructional consulting for students with special needs
  • 한국의 딥스

함께 대출한 자료

  • (2019 제10회) 젊은작가상 수상작품집
  • 숲 생태학 강의
  • 혼자가 좋다 : 온전히 나에게 집중하는 삶
  • 인공지능 시대의 삶 : 책으로 세상을 건너는 법
  • 한국의 나무 : 우리 땅에 사는 나무들의 모든 것
  • 특별한 아이에서 행복한 아이로
  • 교사가 바꾸는 교육법
  • 인간은 기계보다 특별할까? : 포스트휴먼의 시대, 우리가 생각해야 할 9가지 질문

같은 주제의 자료

  • 자폐 친구들의 거침없는 하이킥!
  • 난독의 시대 : 문해력 붕괴,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 돈가스 안 먹는 아이
  • (현장중심의)학습장애아동교육
  • 난독증이 뭔지 알려 줄게!
  • 느린 학습자의 공부 : 경계선 지능과 학습장애의 인지와 기초학습지도
  • 학교 폭력
  • 쿠슐라와 그림책 이야기
  • 롱롱이와 떠나는 수화여행
  • 발달장애인을 위한 성교육
  • 탤런트 코드: 재능을 지배하는 세 가지 법칙
  • 특수교육의 쟁점
  • 나의 가해자들에게 : 학교 폭력의 기억을 안고 어른이 된 그들과의 인터뷰
  • 경계선 지능을 가진 아이들 : 느린 학습자와 발맞춰 걷기
  • 특수아동의 이해와 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