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읽는도시의정부

사서컬렉션

  • 현재페이지 인쇄
정혜신의 사람 공부
  • [도서] 정혜신의 사람 공부
  • 저자사항       정혜신 지음
  • 발행사항       창비, 2016 인쇄자료(책자형), \ 7000
  • 형태사항       149 p.: 20 cm
  • 표준부호       ISBN : 9788936472986
  • 십진분류       ,

소장정보

도서 상태 및 등록 정보
소장
도서관
자료실 청구
기호
등록
번호
부록
유무
대출가능
여부
반납
예정일
영어 영어_1층 A 001.3-ㄱ432ㅊ-v.4 CE0000005353 N 대출가능

책소개

창비 50주년 특별기획 ‘공부의 시대’에 참여한 저자들은 입을 모아 지금이야말로 공부를 해야 할 때라고 말한다. 각 분야에서 자신만의 길을 만들어온 강만길, 김영란, 유시민, 정혜신, 진중권 다섯명의 지식인들이 ‘나’와 ‘세상’에 대해 묻고, 고민하고, 손 내미는 ‘진짜’ 공부를 말한다.

목차

목차정보가 없습니다.

이 책의 주요키워드

연령별 대출정보

연령별 대출정보
연령 대출
10대 미만 2
10대 0
20대 0
30대 2
40대 6
50대 2
60대 0
70대 0
80대 0
90대 0

연도별 대출선호도 정보

연도별 대출선호도 정보
성별 대출
2015년 0
2016년 1
2017년 4
2018년 2
2019년 3
2020년 1
2021년 1
2022년 0
2023년 0
2024년 0
데이터 없음 0

함께 비치된 도서

  • 곽재식의 역설 사전: 마음을 지배하고 돈을 주무르고 숫자를 갖고 노는 역설의 세계
  • 지적 대화를 위한 넓고 얕은 지식 : 철학, 과학, 예술, 종교, 신비 편
  • 지적 대화를 위한 넓고 얕은 지식 0 : 지혜를 찾아 138억 년을 달리는 시간 여행서
  • 강만길의 내 인생의 역사 공부
  • 김영란의 책 읽기의 쓸모
  • 유시민의 공감필법
  • 정혜신의 사람 공부
  • 진중권의 테크노 인문학의 구상
  • (제대로 알면 더 재미있는) 인문교양 174
  • 인생의 허무를 어떻게 할 것인가
  • 질문이 답이 되는 순간 : 어떤 세상에서도 살아가야 할 우리에게, 김제동과 전문가 7인이 전하는 다정한 안부와 제안
  • (조곤조곤) 엄마의 인문학 수업 : 청소년이 알아야 할 인문학 키워드 30
  • 낮은 인문학 : 서울대 교수 8인의 특별한 인생수업
  • 담론 : 신영복의 마지막 강의

함께 대출한 자료

  • 지도 밖으로 행군하라= Marching off the map
  • 유시민의 공감필법
  • 김영란의 책 읽기의 쓸모
  • 교양이 쌓일 만두 하지? : 일상의 빈틈을 채워주는 세상의 모든 지식
  • 진중권의 테크노 인문학의 구상
  • 괴테의 생각을 읽자
  • 그 꿈이 있어 여기까지 왔다 : 이재명 자서전
  • 지금은 일본을 읽을 시간: 교사들이 제안하는 일본바로알기
  • 渤海考
  • 코사무이= Koh Samui : 차웽·라마이·코팡안·코타오
  • 이해할 수 없는 아름다움
  • 생각을 세우는 생각들 : 색다른 생각을 하기 위한 충격의 인문학
  • 영국에는 젠틀맨이 없다 : 런던 특파원이 알려 주는 대영제국의 다섯 가지 비밀
  • 인생 대질문

같은 주제의 자료

  • 열한 계단 : 나를 흔들어 키운 불편한 지식들
  • 시민의 교양 : 지금, 여기, 보통 사람들을 위한 현실 인문학
  • 담론 : 신영복의 마지막 강의
  • 지적 대화를 위한 넓고 얕은 지식 : 철학, 과학, 예술, 종교, 신비 편
  • 책은 도끼다 : 박웅현 인문학 강독회
  • 오리진= ORIGIN : 세상 모든 것의 기원. 1, 보온
  • 어쩌다 어른 : OtvN 프리미엄 특강쇼
  • 공부할 권리 : 품위 있는 삶을 위한 인문학 선언
  • 우리는 언젠가 만난다 : 나, 타인, 세계를 이어주는 40가지 눈부신 이야기
  • 나는 누구인가 : 인문학 최고의 공부
  • 퇴근길 인문학 수업, 전환
  • 책 읽는 식탁 : 마음의 허기를 채우는 독학 인문학 노트
  • 김영란의 책 읽기의 쓸모
  • 유시민의 공감필법
  • 철학이 있는 도시 : 그림으로 읽는 우리 시대, 한국 도시 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