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읽는도시의정부

사서컬렉션

  • 현재페이지 인쇄
삶은 몸 안에 있다 : 의사이자 탐험가가 들려주는 몸속에 감춰진 우리 존재와 세상에 대한 여행기
  • [도서] 삶은 몸 안에 있다 : 의사이자 탐험가가 들려주는 몸속에 감춰진 우리 존재와 세상에 대한 여행기
  • 저자사항       조너선 라이스먼 지음; 홍한결 옮김
  • 발행사항       김영사 2024 인쇄자료(책자형), \ 16800
  • 형태사항       322 p. 21 cm
  • 표준부호       ISBN : 9788934966807
  • 십진분류       511, 기초의학

소장정보

도서 상태 및 등록 정보
소장
도서관
자료실 청구
기호
등록
번호
부록
유무
대출가능
여부
반납
예정일
과학 과학_신착도서 511.1-ㄹ216ㅅ UE0000174849 N 대출가능

책소개

안으로는 뇌부터 손발가락까지 밖으로는 히말라야에서 북극까지, 인체와 자연에 매혹된 한 모험가 의사의 몸 안과 밖을 항해하는 짜릿한 모험. 다양한 장기와 기관에 얽힌 신비로운 이야기를 들려주면서도, 살아 있는 몸이 장기들의 총합으로만 설명될 수 없다는 점을 일깨운다.

목차

목차정보가 없습니다.

이 책의 주요키워드

연령별 대출정보

연령별 대출정보
연령 대출
10대 미만 0
10대 0
20대 0
30대 0
40대 0
50대 2
60대 1
70대 0
80대 0
90대 0

연도별 대출선호도 정보

연도별 대출선호도 정보
성별 대출
2015년 0
2016년 0
2017년 0
2018년 0
2019년 0
2020년 0
2021년 0
2022년 0
2023년 0
2024년 3
데이터 없음 0

함께 비치된 도서

  • (만화로 배우는) 멸종과 진화
  • 다윈에서 데리다까지 : 이기적 유전자, 사회적 자아, 그리고 삶의 의미에 관하여
  • 꽃 책 = The book of the flower
  • 곰팡이, 가장 작고 은밀한 파괴자들 : 조용히 숙주를 멸종시키는 미생물에 관하여
  • 필사의 수컷, 도도한 암컷 : 성선택 이론이 보여주는 진화의 신비
  • 최재천의 곤충사회
  • 꿀벌은 인간보다 강하다; 생태계 파수꾼 꿀벌에 관한 모든 것
  • 삶은 몸 안에 있다 : 의사이자 탐험가가 들려주는 몸속에 감춰진 우리 존재와 세상에 대한 여행기
  • (이토록 기묘하고 알수록 경이로운) 뇌의 흑역사
  • 사피엔스의 뇌: 더 좋은 삶을 위한 심리 뇌과학
  • 각인된 지식 : 우리는 최초의 지식을 어떻게 획득했는가
  • (엄청나게 똑똑하고 아주 가끔 엉뚱한) 뇌 이야기
  • 나라는 착각: 뇌는 어떻게 인간의 정체성을 발명하는가
  • (소설처럼 재미있게 읽는) 뇌과학 강의
  • 뉴럴 링크 : 21세기를 이끄는 거대한 연결,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함께 대출한 자료

  • 툰드라: 강석경 소설집
  • 철학, 나 좀 도와줘!
  • 내가 살린 환자, 나를 깨운 환자
  • 살아가는 힘은 어디에서 나오는가: 나이가 들수록 더 생산적이고 만족스럽게 살아가는 법
  • 일상적이지만 절대적인 뇌과학지식 50

같은 주제의 자료

  • (정재승의) 인간 탐구 보고서. 4, 사춘기 땐 우리 모두 외계인
  • 당신도 느리게 나이 들 수 있습니다 : 나이가 들어도 몸의 시간은 젊게
  • 우리는 각자의 세계가 된다: 뇌과학과 신경과학이 밝혀낸 생후배선의 비밀
  • (정재승의) 인간탐구보고서. 10, 공감은 마음을 연결하는 통로
  • 당신은 뇌를 고칠 수 있다 : 매주 1시간 투자하여 최상의 기억력, 생산성, 수면을 얻는 법
  • 두둥, 무서운 기생충이 입장하였습니다
  • 똑똑, 상냥한 기생충이 찾아왔습니다
  • (깜빡깜빡) 뭐가 보여? : 재미있는 눈 이야기
  • 코딱지가 보낸 편지
  • (어린 과학자를 위한)몸이야기
  • (정재승의) 인간탐구보고서. 7, 인간은 타고난 거짓말쟁이다
  • 놀라운 인체의 원리 : 데이비드 맥컬레이의 인체 그림 백과
  • (정재승의) 인간 탐구 보고서. 8, 불안이 온갖 미신을 만든다
  • 노화의 종말 : 하버드 의대 수명 혁명 프로젝트
  • 생각은 어떻게 행동이 되는가?: 목표를 세우고 성취하는 인지조절의 뇌과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