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읽는도시의정부

사서컬렉션

  • 현재페이지 인쇄
왜 자본은 일하는 자보다 더 많이 버는가
  • [도서] 왜 자본은 일하는 자보다 더 많이 버는가
  • 저자사항       류이근 기획,인터뷰, 정리
  • 발행사항       시대의창, 2014 인쇄자료(책자형), \ 16800
  • 형태사항       348 p.: 23 cm
  • 표준부호       ISBN : 9788959403004
  • 십진분류       321, 경제각론

소장정보

도서 상태 및 등록 정보
소장
도서관
자료실 청구
기호
등록
번호
부록
유무
대출가능
여부
반납
예정일
미술 미술_2층-제너럴그라운드 321.2-ㄹ842ㅇ AL0000006286 N 대출가능

책소개

‘피케티 현상’으로 일컫는 불평등 문제를 핵심에 두고 기획되었다. 당시 《한겨레신문》 경제부 기자로 불평등 문제와 ‘피케티 이론’을 주시한 류이근 탐사기획팀장은, 피케티 교수의 책에서 볼 수 없는 한국의 불평등 현실과 한국 경제학계의 시선을 한데 묶었다.

목차

목차정보가 없습니다.

이 책의 주요키워드

연령별 대출정보

연령별 대출정보
연령 대출
10대 미만 0
10대 0
20대 0
30대 1
40대 1
50대 1
60대 0
70대 0
80대 0
90대 0

연도별 대출선호도 정보

연도별 대출선호도 정보
성별 대출
2015년 0
2016년 0
2017년 0
2018년 0
2019년 0
2020년 1
2021년 1
2022년 0
2023년 0
2024년 1
데이터 없음 0

함께 비치된 도서

  • 한국의 경제학자들 : 장하준 김상조 이병천 김성구 김상봉 장하성 김정호
  • 트렌드 코리아 2021: 서울대 소비트렌드분석센터의 2021 전망
  • 누가 가짜 경제민주화를 말하는가 : 문제는 자유시장 자본주의다
  • 후츠파로 일어서라 : 7가지 처방에 담긴 유대인의 창조정신
  • 사막 위에 세운 미래, 아랍에미리트 이야기
  • (KBS 특별기획) 미국의 부활
  • 피케티 패닉 : 『21세기 자본』을 둘러싼 전 세계 논쟁지도
  • 왜 자본은 일하는 자보다 더 많이 버는가
  • 숲에서 자본주의를 껴안다
  • 피케티의『21세기자본』바로읽기
  • (최진기와 함께 읽는) 21세기 자본
  • 21세기 자본
  • 피케티의 新 자본론
  • 애프터 피케티 : ≪21세기 자본≫이후 3년
  • 기후카지노 : 지구온난화를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

함께 대출한 자료

  • 노인을 위한 시장은 없다 : 고령화의 공포를 이겨 낼 희망의 경제학
  • 기자들, 유튜브에 뛰어들다 : 지상파 기자들의 뉴미디어 생존기
  • 사회주의는 왜 실패하는가
  • 경제학 들어가기= Economics
  • 운이 스스로 돕게 하라 : 역경, 2만 4천 자에 담긴 세상 모든 이치
  • Hallo Berlin= 할로 베를린
  • 다윈의 식탁= Darwin's table : 논쟁으로 맛보는 현대 진화론의 진수
  • 장하준, 한국경제 길을 말하다: 위기의 대한민국, 상생의 대안 '사회적 대타협'
  • 1%에 사로잡힌 나라= Rebuilding korean economy

같은 주제의 자료

  • 21세기 자본
  • 직장이 없는 시대가 온다 : 경제적 자유인가, 아니면 불안한 미래인가
  • 기록되지 않은 노동 : 숨겨진 여성의 일 이야기
  • 그림자 노동의 역습 : 대가 없이 당신에게 떠넘겨진 보이지 않는 일들
  • 고기로 태어나서 : 닭, 돼지, 개와 인간의 경계에서 기록하다
  • 무엇이 불평등을 낳는가 : 세계화를 해부하는 아홉 가지 질문
  • 시그널 : 일상의 신호가 알려주는 격변의 세계 경제 항해법
  • 미래의 속도 : 산업혁명보다 10배 더 빠르고, 300배 더 크고, 3,000배 더 강하다!
  • 기후카지노 : 지구온난화를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
  • 골목길에서 자본주의의 대안을 찾다 : 일본의 실천적 지식인이 발견한 작은 경제 이야기
  • GDP의 정치학 : 우리의 삶을 지배하는 절대숫자
  • 일하지 않을 권리 : 쓸모없는 인간에 대한 반론
  • (공장이 떠난 도시에서) 제인스빌 이야기
  • 누가 나를 쓸모없게 만드는가
  • 10년 후 4차산업혁명의 미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