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읽는도시의정부

사서컬렉션

  • 현재페이지 인쇄
굶주리는 세계, 어떻게 구할 것인가?
  • [도서] 굶주리는 세계, 어떻게 구할 것인가?
  • 저자사항       장 지글러 지음;, 양영란 옮김
  • 발행사항       갈라파고스, 2012 인쇄자료(책자형), \ 16000
  • 형태사항       359 p.;: 23 cm
  • 표준부호       ISBN : 9788990809445
  • 십진분류       335, 생활문제

소장정보

도서 상태 및 등록 정보
소장
도서관
자료실 청구
기호
등록
번호
부록
유무
대출가능
여부
반납
예정일
정보 정보_문헌정보실 335.7-ㅈ894ㄱ EM0000159458 N 대출가능

책소개

<왜 세계의 절반은 굶주리는가?>의 저자 장 지글러, 기아 문제를 다룬 그의 전작들을 아우르는 결정판. 이 책은 장 지글러가 유엔 최초의 식량특별조사관으로서 활동한 8년간의 절망과 희망의 기록이다.

목차

목차정보가 없습니다.

이 책의 주요키워드

연령별 대출정보

연령별 대출정보
연령 대출
10대 미만 1
10대 4
20대 9
30대 0
40대 3
50대 7
60대 1
70대 0
80대 0
90대 0

연도별 대출선호도 정보

연도별 대출선호도 정보
성별 대출
2015년 0
2016년 2
2017년 3
2018년 1
2019년 3
2020년 1
2021년 2
2022년 8
2023년 5
2024년 0
데이터 없음 0

함께 비치된 도서

  • (인류를 식량위기에서 구할) 음식의 모험가들
  • 풍성한 먹거리 비정한 식탁 : 지도와 그림으로 한눈에 보는 세계의 먹거리 이슈
  • 우리의 비만 그들의 기아
  • 빵과 벽돌 : 미래 도시는 무엇을 먹고 사는가?
  • 식량은 왜 사라지는가
  • 테라 마드레
  • 밥상의 전환 : 기후변화와 농업, 그리고 협동조합의 미래
  • 굶주리는 세계, 어떻게 구할 것인가?
  • 왜 세계의 절반은 굶주리는가? : 유엔 식량특별조사관이 아들에게 들려주는 기아의 진실
  • 무엇을 먹고 어떻게 분배할 것인가 : 전 세계 식량 문제 해결을 위한 노력
  • 저 많은 돼지고기는 어디서 왔을까? : 식량위기 시대 잘 먹는 것에 대해
  • 어디 사세요?
  • 나의 주거 투쟁 : 주거 이력서로 바라본 나의 성장 이야기
  • 내 집에 갇힌 사회 : 생존과 투기 사이에서
  • 오래된 집 무너지는 거리 : 주택과잉사회 도시의 미래

함께 대출한 자료

  • 역사의 쓸모 : 자유롭고 떳떳한 삶을 위한 22가지 통찰
  • 짱깨주의의 탄생: 누구나 함부로 말하는 중국, 아무도 말하지 않는 중국
  • 설득의 심리학. 3, 완결편
  • 김대건 : 조선의 첫 사제 : 성 김대건 안드레아 신부 정본 전기
  • 설득의 심리학. 2: Yes를 끌어내는 설득의 50가지 비밀
  • 당신으로 충분하다 : 정신과 의사 정혜신의 6주간의 힐링톡
  • 나는 왜 내 편이 아닌가
  • 내 편이 되어줄래?
  • 슬로 라이프
  • 하나님의 열심
  • 기도회로 교회를 살려라
  • 설교코칭
  • 예일대 교수아빠에게 배우는 경제이야기
  • 내 편으로 만들어라 : 일 잘하는 팀장의 50가지 직장생활 코칭 노하우

같은 주제의 자료

  • 착취도시, 서울 : 당신이 모르는 도시의 미궁에 대한 탐색
  • 왜 세계의 절반은 굶주리는가? : 유엔 식량특별조사관이 아들에게 들려주는 기아의 진실
  • 청년, 난민 되다 : 미스핏츠, 동아시아 청년 주거 탐사 르포르타주
  • 무엇을 먹고 어떻게 분배할 것인가 : 전 세계 식량 문제 해결을 위한 노력
  • 우리의 비만 그들의 기아
  • 나의 주거 투쟁 : 주거 이력서로 바라본 나의 성장 이야기
  • 어디 사세요?
  • 빈곤의 역사
  • 빈둥빈둥 당당하게 니트족으로 사는 법
  • 내가 살 집은 어디에 있을까?
  • 오래된 집 무너지는 거리 : 주택과잉사회 도시의 미래
  • 지구의 밥상 : 세계화는 전 세계의 식탁들을 어떻게 점령했는가
  • 내가 살던 용산
  • 풍성한 먹거리 비정한 식탁 : 지도와 그림으로 한눈에 보는 세계의 먹거리 이슈
  • 밥상의 전환 : 기후변화와 농업, 그리고 협동조합의 미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