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읽는도시의정부

사서컬렉션

  • 현재페이지 인쇄
대한민국철학사 : 철학은 슬픔 속에서 생명을 가진다
  • [도서] 대한민국철학사 : 철학은 슬픔 속에서 생명을 가진다
  • 저자사항       유대칠 지음
  • 발행사항       이상북스, 2020 인쇄자료(책자형), \ 32000
  • 형태사항       600 p.: 23 cm
  • 표준부호       ISBN : 9788993690705
  • 십진분류       151, 한국철학, 사상

소장정보

도서 상태 및 등록 정보
소장
도서관
자료실 청구
기호
등록
번호
부록
유무
대출가능
여부
반납
예정일
음악 음악_1층_북스테이지 151-ㅇ568ㄷ ME0000001627 N 대출가능

책소개

이 땅에서 우리말, 우리글로 역사의 주체인 우리가 우리의 삶과 고난에 대해 고민하고 사유한 결과물이 한국철학이다. 위계의 사회였던 조선을 제대로 뒷받침해준 성리학과 이후 사민평등 사상을 가진 양명학의 전개를 소상히 살펴보며 한국철학의 등장 배경을 조망한다.

목차

목차정보가 없습니다.

이 책의 주요키워드

연령별 대출정보

연령별 대출정보
연령 대출
10대 미만 0
10대 1
20대 1
30대 0
40대 2
50대 1
60대 0
70대 0
80대 0
90대 0

연도별 대출선호도 정보

연도별 대출선호도 정보
성별 대출
2015년 0
2016년 0
2017년 0
2018년 0
2019년 0
2020년 0
2021년 2
2022년 2
2023년 1
2024년 0
데이터 없음 0

함께 비치된 도서

  • 니체와 장자는 이렇게 말했다 : 철학은 어떻게 나다운 삶을 살아가게 하는가
  • 오십의 주역공부: 다산처럼 인생의 고비에서 역경을 뛰어넘는 힘
  • 시경을 읽다 : 고대 중국 문인의 공통핵심교양이 된 3천 년의 민가
  • 시경 속 동물: 천년의 역사를 품은《시경》, 그 속에 만물이 살아 숨 쉰다.
  • 논어와 음악: 공구 형, 세상이 왜 이래?:정상도 논어 에세이
  • 오십에 읽는 논어: 굽이치는 인생을 다잡아 주는 공자의 말
  • 개벽의 사상사: 최제우에서 김수영까지, 문명전환기의 한국사상
  • 대한민국철학사 : 철학은 슬픔 속에서 생명을 가진다
  • 아버지 정약용의 인생강의
  • 다산의 마지막 공부:마음을 지켜낸다는 것
  • 다산의 마지막 습관:기본으로 돌아간다는 것
  • 난세일기: 우리가 살고 있는 문명을 되돌아본다
  • 단순한 열망: 미니멀리즘 탐구
  • 전국책을 읽다 : 국경과 계급을 초원한 모략서를 공부하는 첫걸음
  • 순자를 읽다 : 유가를 중국 사상의 주류로 만든 순자를 공부하는 첫걸음

함께 대출한 자료

  • 일곱 해의 마지막 : 김연수 장편소설
  • 생각 수업 : 온전한 나로 살아가기 위한 최고의 질문
  • 착취도시, 서울 : 당신이 모르는 도시의 미궁에 대한 탐색
  • 페스트
  • (곁에 두고 읽는) 철학 가이드북
  • 가난한 도시생활자의 서울 산책: 쫓겨난 자들의 잊힌 기억을 찾아서
  • 예술의 역설 : 근대 미학의 성립
  • 서양 미학사의 거장들 : 감성과 예술을 향한 사유의 시선
  • 시각예술의 의미
  • 인간 본성의 역사= The History of Human Nature
  • (애덤 스미스부터 21세기 자본주의까지 비판적 관점으로 본)E. K. 헌트의 경제사상사
  • 생각의 싸움 : 인류의 진보를 이끈 15가지 철학의 멋진 장면들
  • 소은 박홍규와 서구 존재론사 : 동일성과 차이생성
  • 블러드차일드
  • 데리다와의 데이트 = Dating Derrida : I mourn, therefore I am: 나는 애도한다, 고로 존재한다

같은 주제의 자료

  • 사랑하지 말자
  • 북학의: 시대를 아파한 조선 선비의 청국 기행
  • 성호사설
  • 조선후기 儒敎와 西學
  • (내가 본)함석헌
  • 북학의
  • 한국 철학 에세이
  • 혜강 최한기와 유교= Hyegang Choe Han-gi & Confucianism
  • 한국철학사상사
  • 선비처럼
  • 선비: 사유와 삶의 지평
  • 동양적 사유는 어떻게 탄생했는가 : 이와 기의 조화와 충돌 그리고 탈출
  • 퇴계처럼
  • 퇴계와 율곡, 생각을 다투다
  • 퇴계의 사람 공부 : 우리 시대의 언어로 다시 공부하는 삶의 의미, 인간의 도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