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읽는도시의정부

사서컬렉션

  • 현재페이지 인쇄
시네마토그라프에 대한 노트
  • [도서] 시네마토그라프에 대한 노트
  • 저자사항       로베르 브레송 지음 ; 이윤영 옮김
  • 발행사항       문학과지성사 2021 인쇄자료(책자형), \ 15000
  • 형태사항       166 p. 21 cm
  • 표준부호       ISBN : 9788932038742
  • 십진분류       688, 영화

소장정보

도서 상태 및 등록 정보
소장
도서관
자료실 청구
기호
등록
번호
부록
유무
대출가능
여부
반납
예정일
정보 정보_문헌정보실 688.04-ㅂ958ㅅ EM0000186930 N 대출가능

책소개

영화사상 가장 중요한 감독 중 한 명으로 이야기되는 로베르 브레송의 작가일지다. 브레송의 영화를 만들어낸 모든 것, 그가 영화를 만들면서 오랜 시간에 걸쳐 벼리고 정련한 성찰들과 그의 영화미학이 형성된 과정이 담겨 있다.

목차

목차정보가 없습니다.

이 책의 주요키워드

연령별 대출정보

연령별 대출정보
연령 대출
10대 미만 0
10대 1
20대 1
30대 0
40대 1
50대 0
60대 0
70대 0
80대 0
90대 0

연도별 대출선호도 정보

연도별 대출선호도 정보
성별 대출
2015년 0
2016년 0
2017년 0
2018년 0
2019년 0
2020년 0
2021년 0
2022년 3
2023년 0
2024년 0
데이터 없음 0

함께 비치된 도서

  • 묘사하는 마음 : 김혜리 영화 산문집
  • 영화를 바라보다 : 할리우드 영화의 돈과 정치 이야기
  • 남자 주인공에겐 없다: 재미있는 영화 클리셰 사전
  • 여자 주인공만 모른다 : 재미있는 영화 클리셰 사전
  • 데이빗 린치의 빨간방 : 컬트의 제왕이 들려주는 창조와 직관의 비밀
  • 올드 시네마 150
  • 아가씨 가까이
  • 시네마토그라프에 대한 노트
  • 그 이름을 부를 때: 영화 「김복동」이 일깨워준 세상을 기록하다: 송원근 에세이
  • 나의 인생은 영화관에서 시작되었다
  • 로마에서 말하다
  • 극장 앞에서 만나 : 교차와 연대의 영화들
  • 정확한 사랑의 실험
  • 영화 읽어주는 인문학
  • 작은 영화가 좋다 : 오동진의 인문극장

함께 대출한 자료

  • 구름관찰자를 위한 가이드: 신기하고 매혹적인 구름의 세계
  • (초보 드링커를 위한) 위스키 안내서
  • 우리는 SF를 좋아해: 오늘을 쓰는 한국의 SF 작가 인터뷰집
  • 은하환담: 아홉 작가의 한국 설화 앤솔러지
  • 레비스트로스의 말 : 원시와 현대 예술에 관한 인터뷰
  • 땅거미 질 때 샌디에이고에서 로스앤젤레스로 운전하며 소형 디지털 녹음기에 구술한, 막연히 LA/운전 시들이라고 생각하는 작품들의 모음: 정지돈 연작소설집
  • 소년소녀, 기획하라!: 창의 지수 만렙을 위한 기획자들의 대모험
  • 맑스와 정의 : 자유주의에 대한 급진적 비판
  • 몸이 아프다고 생각했습니다
  • 국가에 관한 질문들 : 정치철학의 역사
  • 컨셉은 발견이다 : 계속해서 팔리는 상품을 기획하는 새로운 관점
  • 모래 사나이
  • 해바라기가 피지 않는 여름
  • 백남준과 미디어아트, 그 시작 : 1958-1963 독일 라인지역에서
  • 어쨌거나 밤은 무척 짧을 것이다 : 세기의 아이들을 위한 반영화입문

같은 주제의 자료

  • 닥터 후. 3 시즌 8
  • 왕좌의 게임. Disc 2, Episodes 3&4 bonus features 시즌 5
  • (The) Grand Budapest Hotel= 그랜드 부다페스트 호텔 : 웨스 앤더슨 컬렉션
  • 벌새: 1994년, 닫히지 않은 기억의 기록
  • 여자 주인공만 모른다: 재미있는 영화 클리셰 사전
  • (거의없다의) 방구석 영화관
  • 질문하는 영화들: <기생충>에서 <어벤져스>까지 우리가 열광한 영화 깊이 읽기
  • 영화는 두 번 시작된다 : 이동진 영화평론집 2019~1999
  • 나를 보는 당신을 바라보았다 : 김혜리의 영화의 일기
  • 남자 주인공에겐 없다: 재미있는 영화 클리셰 사전
  • 정확한 사랑의 실험
  • 영화하는 여자들
  • 혼자서 본 영화
  • 박찬욱의 몽타주
  • 영화를 찍으며 생각한 것 : 고레에다 히로카즈 영화자서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