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읽는도시의정부

사서컬렉션

  • 현재페이지 인쇄
소설엔 마진이 얼마나 남을까 : 작가정신 35주년 기념 에세이
  • [도서] 소설엔 마진이 얼마나 남을까 : 작가정신 35주년 기념 에세이
  • 저자사항       김사과[외] 지음
  • 발행사항       작가정신 2022 인쇄자료(책자형), \ 15000
  • 형태사항       259 p. 20 cm
  • 표준부호       ISBN : 9791160263008
  • 십진분류       814, 수필

소장정보

도서 상태 및 등록 정보
소장
도서관
자료실 청구
기호
등록
번호
부록
유무
대출가능
여부
반납
예정일
가능동 가능동작은도서관 AD 814.7-ㄱ755ㅅ SLA000014345 N 대출가능

책소개

“그럼에도 여전히, 나에겐 소설이 필요합니다”현역 작가 23인의 소설 생각작가정신 35주년 기념 에세이 『소설엔 마진이 얼마나 남을까』가 출간되었다. 김사과, 김엄지, 김이설, 박민정, 박솔뫼, 백민석, 손보미, 오한기, 임현, 전성태, 정소현, 정용준, 정지돈, 조경란, 천희란, 최수철, 최정나, 최진영, 하성란, 한유주, 한은형, 한정현, 함정임 등 한국 대표 소설가 23인의 에세이를 엮은 책이다. 『소설엔 마진이 얼마나 남을까』는 작가정신 창립 35주년을 맞아 기획되었다. 문학을 사랑하는 독자라면 하나의 세계를 창조해내는 소설가들은 어떻게 세상을 바라보고 삶을 관통하는지, 그들의 ‘작가정신’이 궁금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이 책은 소설을 쓸 때의 생각과 마음부터 창작 과정 및 작가적 정체성에 이르기까지 ‘우리가 사랑하는 작가들의 모든 것’을 담았다. 23인 작가들의 소설 생각은 그들이 쓰는 소설만큼이나 형식이나 내용에 있어 자유롭고 다채롭다. 소설을 쓰는 데 필수적인 소설을 쓰지 않는 시간(임현), 소설을 위한 낙서와 시적 단상들(정용준), 지금과는 다른 이해의 건너편으로 이동하기 위한 소설 작법(천희란), 소설을 마무리하는 데 필요한 ‘인정’과 ‘단념’(최진영), 여성으로서의 공포와 사회적 약자로서의 불안을 형상화한 소설의 주제(하성란), 무언가에 미쳐 열중하는 사람들이 있는 소설이 잘 써지는 자리(한은형) 등 한국 문학의 어제와 오늘을 이루고 있는 작가들의 진솔하면서도 속 깊은 이야기를 들려준다.또 하나 눈여겨볼 만한 점은 글과 함께 어우러진 사진이다. 해당 글의 작가들이 대부분 손수 찍어 제공한 사진들은 책상과 책장, 집필 도구 등이 담긴 작업실 풍경부터 소설을 쓰기 전이나 쓰는 중에 자주 찾는 곳, 글쓰기에 영감을 준 사물과 작가의 모습이 담긴 사진 등 그 종류도 다양하다. 내가 좋아하는 작가들이 어떤 공간에서 글을 쓰고 읽으며, 어떤 길을 걷고 생각하는지 독자와 함께 나누는 즐거움을 선사해줄 것이다.우리는 왜 소설을 읽고 그들의 이야기에 귀 기울이는가. 또한 소설은 작가 자신에게 그리고 우리들에게 어떤 마진, 즉 ‘이익’을 남기는 걸까. 이 책의 제목이기도 한 ‘소설엔 마진이 얼마나 남을까’라는 질문에 대한 답은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그중 하나는 “꿈을 꿀 수 있게 한다”는 것이다. ‘꿈’과 ‘이익’은 언뜻 거리가 멀어 보이지만, 유한한 존재로서 살아가는 인간으로 하여금 다른 나, 다른 삶, 다른 세상을 꿈꿀 수 있게 한다는 것만큼 가치로운 이윤이 또 있을까. 최진영 작가의 말대로 우리는 “소설을 통해 꿈꿀 수 있다, 계속하여 꿈꿀 수 있다”. 우리와 함께 꿈을 꾸고, 그 꿈을 이야기로 들려주는 소설가들이 우리 곁에 있는 한.

목차

목차정보가 없습니다.

이 책의 주요키워드

연령별 대출정보

연령별 대출정보
연령 대출
10대 미만 0
10대 0
20대 0
30대 1
40대 3
50대 1
60대 0
70대 0
80대 0
90대 0

연도별 대출선호도 정보

연도별 대출선호도 정보
성별 대출
2015년 0
2016년 0
2017년 0
2018년 0
2019년 0
2020년 0
2021년 0
2022년 2
2023년 3
2024년 0
데이터 없음 0

함께 비치된 도서

  • (청소년을 위한)세계 문학 에세이 : 청소년의 지성과 감성을 키우는 허병두 선생님의 문학, 삶, 여행
  • 그대는 할말을 어디에 두고 왔는가 : 허수경 산문집
  • 가기 전에 쓰는 글들 : 허수경 유고집
  • 사랑의 일곱가지 빛깔
  • 희한한 위로
  • 오늘은 좀 매울지도 몰라 : 떠나는 아내의 밥상을 차리는 남편의 부엌 일기
  • 어떤 죽음이 삶에게 말했다 : 생의 남은 시간이 우리에게 들려주는 것
  • 소설엔 마진이 얼마나 남을까 : 작가정신 35주년 기념 에세이
  • 어느 봄날의 이야기 : 어르신 이야기책_013 그림책
  • 안녕, 나의 작은 테이블이여
  • 책과 우연들
  • 생에 감사해
  • 좋은 일이 오려고 그러나 보다: 박여름 에세이
  • 딸 : 어르신 이야기책_210 중간글
  • 밤을 걷는 밤: 나에게 안부를 묻는 시간

함께 대출한 자료

  • 크리스마스 타일: 김금희 연작소설
  • 모래알만 한 진실이라도
  • 최소한의 이웃 : 허지웅 산문집
  • 명상 살인 : 죽여야 하는 변호사
  • (잊지 않으려고 시작한 매일의 습관) 기록하기로 했습니다.
  • 지구에서 영어생활자로 살아남는 법 : 발음에 집착하는 당신이 알아야 할 일터의 언어, 태도에 관하여
  • 나의 아프고 아름다운 코끼리 : 무기력, 우울, 공허함 속에서도 오늘을 살아가는 법
  • 강박에 빠진 뇌 : 신경학적 불균형이 만들어낸 멈출 수 없는 불안
  • 우리의 환대: 장희원 소설집
  • 내 어머니의 자서전
  • 어른의 일기: 나를 위한 가장 작은 성실
  • 다자이 오사무
  • (The)156-Storey Treehouse
  • 잘못 걸려온 전화
  • 우리는 조금 더 예민해야 한다: 일상 속 차별적인 말에 둔감해진 나를 깨우고 지키는 법

같은 주제의 자료

  • 여행의 이유 : 김영하 산문
  • 새는 날아가면서 뒤돌아보지 않는다
  • 운다고 달라지는 일은 아무것도 없겠지만: 박준 산문
  • 빨강머리 앤이 하는 말 : 백영옥 에세이 : 아직 너무 늦지 않았을 우리에게
  • 자유로울 것: 임경선 에세이
  • 잊기 좋은 이름 : 김애란 산문
  • 모래알만 한 진실이라도: 박완서 에세이
  • (김영하 산문) 읽다 : 김영하와 함께하는 여섯 날의 문학 탐사
  • 호호호 : 나를 웃게 했던 것들에 대하여 : 윤가은 산문
  • 시인의 밥상 : 공지영 에세이
  • 어쩌면 내가 가장 듣고 싶었던 말 : 괜찮은 척, 아무렇지 않은 척했던 순간에도
  • 작별들 순간들 : 배수아 산문
  • 딸에게 주는 레시피 : 공지영 에세이
  • 생에 감사해
  • 라면을 끓이며 : 먹고산다는 것의 안쪽을 들여다보는 비애
: 가재울도서관팀 : 진선미 : 031-828-8662